"수많은 방역 수칙 다 지키고도 AI 발생했다”
김명현
2017.04.14
수많은 방역 수칙 다 지키고도 조류독감 AI 발생했다

앞으로 새로 지어지는 양계장의 산란계는 최소한 A4 용지보다는 큰 공간에서 거주할 수 있게 된다. 정부가 산란계 사육 면적을 넓히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문제는 사육면적이 넓다고해서 AI를 방지 할수는 없다, 전혀 근거가 없고 연구결과나 DATA가 없는 대책이다,


밀집사육이 HPIA(AI) 감염의 근본적이 원인이 될 수 없음

객관적인 자료나 근거가 없는 상황이다.


무제한 생활면적을 가진 야생조류에도 AI감염이 일어났고, 예를들면 사육면적이 큰 종계장의경우 0.08~0.09임에도 AI감염 살처분이 국내 종계의 50%나 살처분이 발생한 상황은 이를 역설한다.


사육면적이 넒어서 면역력이 늘어나고 건강한 닭이 된다고 가정을 하고, 생각을 해볼때..


AI가 발병했을 때 20마리가 폐사가 되기도 하고 200마리가 폐사로 이어질 수도 있으나 면역력이 폐사를 줄이기는 하겠지만 사육면적이 늘어난다고 해서 면역력이 강해진다는 연구결과는 전혀 없다.

여기서 문제는 면역력이 늘어난다고해서 살처분을 피할수는 없는 상황이다.

닭의 스트레스는 생산성과 연결되며 산란율이 좋다는 결과는 닭의 언어로 볼때 스트레스가 없고 생활하기 편하다,는 뜻으로 해석할수 있다.

현재 계란을 생산하는 농가는 생산성이 좋도록 닭장을 설계하고 계획을 하지 닭이 생활하기 힘들게 스트레스를 받으면 살아가기를 원하는 농가는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분들의 닭은 단순히 경재적이 이익만 주는 축산물이 아니라 가족이기 때문이다.

가축을 사육하는 농민들중 어느누가 자기의 가족들을 힘들게 하고 숨쉬기 힘들게 좁게 스트레스를 많이 받게 계획을 하고 관리를 하겠는가?

그렇다면 밀식사육은 생산자 스스로가 경제성 원리에 따라서 사육을 계획 하는 문제로 정부의 방역규제와는 무관하다.


산란계 닭장(케이지)는 알을 낳는 중지의 개념이지 뛰어노는 곳이 아니다.

종자를 200년 가까이 연구하고 개발한 해외의 종계회사들이 닭들이 생활하기 편하고 산란하기 좋은 적정생활면적과 경제성을 헤아려 수십년 동안 연구한 결과물이 현재의 닭장(케이지)의 사육 기술이다.


사육면적이 상향 조정되었다면 단순히 숫자 계산상으로 0.05m2 -> 0.075m2 =생산량이 33~50% 감소한다.

이에대한 문제는 도미노 현상으로 원가 상승의 원인이 된다.

산란계는 축사시설의 투자비용이 육계나 오리에 비해 비싸고 생산물의 개단 가격이 1월단위로 오르고 내리는 발리다매의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다.

생산원가에서 30%가 상승한다면 소비자 가격에서는 상상할수도 없는 금액으로 가격이 올라갓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선진국의 사례를 보면 미국역시 동물복지(사육면적0.07)사육방식은 법적규제보다 리테일시장(유통)의 요구에 의해서 출발하여 생산자가 스스로 변하는 구조로 시장경제의 논리로 접근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하여 그렇게 규제를 하지 않는다.

진정한 동물복지를 위하는 차원이라면 7년 이상의 자연수명을 가진 닭에게 1년 6개월돈안 산란 후 도태시키는 현재의 사육시스템도 모순점이 있다.

육계는 채40일도 안되어 출하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육계의 경우 도 마찬가지이다.

이번 AI사태는 정부의 초기 대응 실패를 가장 큰 원인으로 지적하는 학계와 언론의 지적도 있다.


정부는 13일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주재로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농림축산식품부와 관계 부처들이 만든 ‘조류인플루엔자(AI)·구제역 방역 개선대책’을 확정했다고 한다.

이것또한 심각한 문제가 있다.


전혀 검증이 되지 않고 선진국에서 조차도 방역과 사육면적이 AI확산을 방지한다는 보고가 없고 대책이 될수 없다고 하는데, 우선 시급하다고 전혀 검증이 되지 않은 대책안을 제출한 놈림부는

3월24일 관계부처 지자체 생산자 단체 등의 의견수렴을 거쳐 확정할 계획이라고 했는데,

어떠한 의견을 수렴하였는지 그 내용이 문제가 있다고 보인다.


그리고 정부는 방역 소독으로 AI 감염을 막을수 있다는 연구를 해야 할것이다.

방역소독을 철저히 하고 정부가 짜놓은 SOP PLAN대로 시행하였는데도 AI가 전염되어 살처분한 농가가 한두농가가 아니다, 이에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상황에서 정부가 내놓은 대책은 사육면적,3진아웃,방역세,살처분 보상금액 감액, 이러한 정책은 AI발생의 원인과 결과는 농가의 책임으로 전가시키는것으로 밖에 해석이 되지 않는다.


AI가 인체 감염을 일으킬수 있는 1종 전염병인데 이러한 시급한 상황에 근본적이 원인을 찾고 해석을하고 연구를 해야할 정부가,

어찌보면 대한민국 국민들이 감기에 걸려 4,000만명이 죽고 나니 죽은 분들은 않좋은 환경에 사시는 분들이었다고, 손발 안씻고 소독안하고 마스크를 안껴서 감기가 걸렸다고 예기 하는것과 일맥 상통한 예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