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2017 농가경제조사 관련 보도참고자료
2018.04.23 17:45:36    

󰊱 농가소득은 2017년 평균 38,239천원으로 전년대비 2.8% 증가

 

연령대별로 보면 60대까지의 농가소득은 평균소득을 상회

- 소득이 낮은 70대 이상 농가가 전체농가의 41.9%를 차지하여 전반적으로 평균 농가소득을 낮추는 영향을 초래

 

(단위: 천원, %)

 

농가소득

가계지출

자 산

부 채

2016

2017

증감률

평균

37,197

38,239

2.8

30,640

505,881

26,375

40대 이하

49,641

52,221

5.2

42,009

384,985

  60,213

50대

63,151

65,082

3.1

50,553

677,489

56,961

60대

42,637

44,551

4.5

35,416

549,684

30,235

70대 이상

24,476

26,223

7.1

21,589

442,890

13,466

 

󰊲 농업소득은 전년대비 0.2% 감소한 10,047천원

 

ㅇ 논벼농가 경우는 쌀 가격 회복으로 쌀 농업소득은 증가(54.8%)

 

* 수확기 쌀가격 : (’16년) 129,807원/80kg → (‘17년) 153,213(18%↑)

축산농가의 경우 축산물 가격 하락으로 소득이 감소하였으나 국제곡물가격 하락에 따른 사료비 인하(△16.1%)로 경영비도 감소(△3.2%)하여 소득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었음

 

* 한우 수소(600kg) 가격 : 전년대비 16% 하락(5,650천원/마리→4,732천원)

* 국제곡물가격동향 : (’15.1)밀 200$/톤, 옥수수 153$/톤, 대두 367$/톤 → (’16.1)밀 174$/톤, 옥수수 142$/톤, 대두 323$/톤 → (’17.1)밀 156$/톤, 옥수수 143$/톤, 대두 380$/톤

ㅇ ‘16년 쌀 값 하락 보전을 위해 ’17년에 지급한 변동직불금, 재해보험금 등으로 농업잡수입이 112% 증가하여 농업소득의 변동성을 완화한 것으로 보임

 

* 변동직불금 지급액 추이 : (’15) 1,941억원→(’16) 7,262→(’17) 14,900

 

* (재해보험금 지급, ‘17) 농작물 재배농가에 2,873억원, 가축사육농가에 1,292억원

 

* (재해복구비 지원, ‘17) 202억원

 

󰊳 농업외소득은 농촌관광, 융복합산업 육성 등으로 전년대비 6.7% 증가

 

ㅇ 특히, 겸업소득이 크게 증가(14.3%)하였으며, 이는 농가경제에 있어 부가가치가 높은 농촌 융복합산업 활성화가 중요함을 시사

 

* 6차산업 관련 예산 : (’15)127억원 → (’16)255 → (’17)313

ㅇ 사업외소득 또한 급료수입 증가(3.8%) 영향으로 늘어났으며(4.1%), 이는 농업·농촌 일자리 관련 정책의 중요성을 시사

 

󰊴 이전소득전년대비 1.4% 증가하여 직불제, 농지연금 등을 지속적으로 확충한 결과로 보임

 

밭·조건불리 직불금 단가 인상 및 농지연금 상품개발, 기초노령연금 지원 확대 지속 추진

 

* 밭고정직불금 : (‘12~‘16) 40만원/ha → (‘17) 45 → (’18) 50

* 조건불리직불금 : 농지 (‘10~‘16) 50만원/ha → (’17) 55 → (’18) 60, 초지 (‘10~‘16) 25만원/ha → (‘17) 30 → (’18) 35

 

󰊵 농가자산전년대비 6.7% 증가, 부채는 1.3% 감소

 

전년보다 자산은 증가하고 부채는 감소하여 농가의 단기경영안정성은 높아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음

다만 고정자산 중 토지자산의 지속적인 가격 상승과 농업용 부채의 큰 폭 감소(11%)가 농업 투자 감소로 이어지는지를 면밀히 모니터링 할 필요

○ 향후 농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스마트 팜 등 첨단기술확산, 청년농 육성, 농신보 개편 등을 적극 추진해 나갈 필요가 있음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농림축산식품부 이(가) 창작한 통계청 2017 농가경제조사 관련 보도참고자료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