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하 중수본)는 지난 2월 21일부터 23일까지 5건*이 발생하여행정안전부, 환경부 등 관계부처및 지자체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방역 조치를 강화하여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 (2.21.) 경기 연천 산란계, 전북 정읍 토종닭, 충남 서산 메추리, (2.23.) 전북 정읍 토종닭 및 산란계
김인중 농림축산식품부 차관 주재로 농림축산식품부·행정안전부·환경부·농림축산검역본부 등관련 기관과 지자체가 참석하는 중수본 점검 회의를 2월 24일(금)에 개최하고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방역 조치상황 및 대응방안을 점검하였다.
올해가 작년에 대비하여 2월 철새 개체 수가 많고*1월보다 2월에 충남·경기 북부의 철새 서식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으며, 부산·경남에서 중북부지역으로 철새가 이동**하여 해당 지역의 위험도가 높아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 2023년 2월 130만여 마리가 확인(1월 대비 6.6% 감소, 전년 2월 대비 13.3% 증가)
** 위성항법장치분석 결과, 일부 철새가 부산·경남에서 충남·충북·경기 지역으로 이동(2.14.~21.)
또한철새 개체 수가 많은 서식지 주변*과 과거 2월 발생이 많은 경기,충남북, 전북지역 중심으로 철새가 완전히 북상할 때까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위험이 있으므로 41일간 비발생 이후 다시 발생하고 있는 만큼 경각심을 가지고 다음 사항에 대해 철저히 대응해 달라고 강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