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차 농어업인 삶의질 기본계획
총관리자
디지털소통팀
2025.03.31
634

 농림축산식품부 모두가 행복한 농어촌,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미래성장 공간  경제·일자리 농어촌 사업체 수 ('22) 135만개 > ('29) 189 (연평균 5%↑)  생활인구 농어촌 지역 생활인구 연평균 3% 증가  정주만족도 도·농간 삶의 질 격차 ('24) 0.8점 > ('29) 0.4점  전략 및 과제 3대 추진전략, 12대 주요 과제 (총 180개 세부과제)   농어업·농어촌자원 활용 경제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 ·지역별 특화산업 육성 촉진 ·어메니티 기반 서비스산업 활성화 ·농어촌 혁신을 이끌 인력 양성  농어촌주거 여건 개선 및 생활인구 확대 ·농어촌 주거 여건 개선 ·생활인구·관계인구 확대 기반 마련 ·쾌적한 환경 및 안전한 공간 조성  공공 및 생활서비스 사각지대 최소화 ·보건의료 서비스 여건 개선 ·농어촌 교육여건 개선 ·농어촌형 돌봄서비스 확충 ·문화예술 향유기회 확대 ·농어업인 복지증진 및 사회안전망 확충  ·식품사막 및 교통 사각지대 최소화  추진 체계 삶의 질 정책 평가·환류체계 개선 평가 - 농어촌서비스기준 강화 및 시행계획 평가제 개선  환류 - 농어촌서비스 취약지역 문제해결 컨설팅 제도 도입 삶의 질 정책 강화를 위한 법률 개정 기업과의 다각적인 협업 모델 구축

 농림축산식품부 2025~29년 농어업인 삶의 질 기본계획 3대 추진전략 12대 주요 과제  과제별 주요 내용  01 농어업·농어촌자원 활용 경제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 지역별 특화산업 육성 촉진 농촌특화지구 내 입지 관련 규제 개선 및 (가칭)자율규제혁신지구 법제화 바다생활권 경제·생활거점 조성  어메니티 기반 서비스산업 활성화 K-농산어촌 관광벨트 확대 및 (가칭) K-Heritage 프로젝트 추진 치유농업 전문인력/인증농장 확대 (~'27, 2,150명/500개), 해양치유센터 확대(5개소)  농어촌 혁신을 이끌 인력 양성 로컬크리에이터 육성(~'29: 1,000개사) 청년농·어업인 대상 농지·시설·자금 맞춤형 지원 강화   02 농어촌주거 여건 개선 및 생활인구 확대 농어촌 주거 여건 개선 시·군 농촌공간계획 수립 의무화 및 빈집 정비 특별법 제정 지역활력타운 확대(~29: 67개소), 청년 보금자리 조성 확대(~29: 35개소) LPG 공급 인프라 확충 (~'29 마을단위: 498개소/~'28 읍면단위: 70개소)  생활인구·관계인구 확대 기반 마련 농촌 체류형 쉼터 활성화 및 농촌 체류형 복합단지 조성 빈집 민간거래 활성화 및 구역단위 재생 지원 고향사랑기부제, 행복농촌 서포터즈 등 운영  쾌적한 환경 및 안전한 공간 조성 농촌·해양 환경오염 저감 안전 및 기후위기 대응 인프라 확충  03 공공 및 생활서비스 사각지대 최소화 보건의료 서비스 여건 개선 농촌 왕진버스 지원(~'29: 18만명) 장기요양 재택의료센터 전국 확대(~'29: 250개) 여성농어업인 특수건강검진 확대  농어촌 교육여건 개선 농어촌 자원 활용 늘봄학교 프로그램 개발·확산 농어촌 이주배경학생 멘토링 확대(~’29: 1,400명) 문해교육 활성화(~'29: 28천명)  농어촌형 돌봄서비스 확충 농촌 지역 공동체 기반 경제·사회서비스 확대 의료·요양 통합돌봄 지원체계 마련(~'26) 한울타리유치원 조성 확대(~'29: 230소)  문화예술 향유기회 확대 구석구석 문화배달 확대('25: 광역기준 8개 지역→'29: 12개)  통합문화이용권 가맹점 확대 및 1인당 사용 금액 상향  농어업인 복지증진 및 사회안전망 확충 농어업인 건강보험료·국민연금 지원 확대 농지연금 가입 확대(~'29: 3.5만건) 농어업인 안전보험 가입자 확대(~'29: 106만명)  식품사막 및 교통 사각지대 최소화 가가호호 이동장터' 확산(~'29: 30개 지구) 농촌형 교통모델 운영(~'29: 82개소 유지), 벽지노선 지원 확대(시내버스→시외.고속)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농림축산식품부 이(가) 창작한 제5차 농어업인 삶의질 기본계획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