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화된 소비트렌드와 기후변화에 따른 원예 산업의 시장 대응력을 강화하고, 품목별 중장기 발전계획을 수립하여 경쟁력 제고
기후변화 대응
시설현대화사업 지원 및 기후변화 적응형 신품종 육성 등을 통해 농가 경영 불안정성을 완화하고 안정적인 생산기반 마련
(시설원예) 생산성·품질개선, 영농편의성 제고 및 경영비 부담경감을 위해 시설원예 현대화, ICT융복합 확산, 농업에너지이용효율화 등 시설원예 자동화·스마트화 지원 - 고추 자급률 지속하락과 잦은 기상이변에 따른 생산량 감소에 대비하여 비가림재배시설 지원을 통한 고추 생산기반 확충 - 환경관리시설·에너지절감시설 및 스마트팜 보급을 지속 지원하고, 스마트팜 운영 초기 농가를 대상으로 현장컨설팅을 실시하여 관리역량 제고
(과수)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저온피해 및 폭염예방시설을 지원하고, 기후적응 과수 신품종육성 연구를 추진(농진청)하여 품종 갱신 시 우선 지원
(노지채소) 기후변화에 따른 재배적지 변동에 대응하여 품목별․시기별 과잉․부족량 예측 등 수급여건 변화 연구 추진 -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체작물 발굴․보급, 작부체계 개편 및 농가 지도 등 재배면적 관리 강화 - 노지채소 스마트팜 모델 개발․보급, 밭기반정비 사업과 연계한 용수 기반시설 지속 지원 등을 통해 가뭄 등 이상기상 피해 경감
품목별 경쟁력 제고 방안
(차산업) 생산-가공·유통-소비까지 전(全)단계를 아우르는 차산업 발전 종합계획을 마련하고, 국산 차 산업을 新유망산업으로 육성
차 시장 유형별(고급차·대중차) 맞춤형 육성 전략 수립 - (고급차) 전통문화·체험 등과 연계한 고부가가치 차 및 명품차 보전·전수 - (대중차) 대중용으로 유통되는 대중차의 품질 균일성과 물량 확보를 위한 가공시설 확충 및 생산·가공기술 교육 확대
(인삼) 인삼산업 활성화를 위한 의무자조금 규모 확대, 계약재배 및 내재해시설 지원, 안전성 관리 강화 및 소비․수출 활성화 지원
의무자조금 거출액 인상 및 가입 참여 확대 유도를 통해 민간 역량 강화
경작신고 활성화, 인삼 가공시 잠재적 오염원인 중소 백작소 기자재* 교체, 교육․홍보활동 강화로 안전성 강화 및 소비자 신뢰 제고 * 환경호르몬 검출 우려 요인(인삼을 찔 때 사용하는 플라스틱 채반, 거름망 등)
체계적 수출·홍보 지원을 위해 고려인삼종합정보망(수출 통관 전보, R&D 효능 및 홍보 자료 등 포함) 추진(~‘19.12, 인삼자조금)
(화훼) 행사용 등 편향된 소비구조를 일상생활용 화훼 소비 문화로 전환하기 위한 꽃 생활화 홍보 및 판매채널 확대로 화훼소비 활성화 도모
코로나19로 위축된 소비를 활성화하기 위한 대국민 꽃 생활화 홍보 추진
소비자 접근성 편의를 위한 온라인(홈쇼핑, 온라인 판매채널 등) 및 오프라인 판매채널 확대 등 수요처 다변화로 화훼소비 촉진 도모
(과수) 수입과일 증가 및 소비트렌드 변화에 대응한 생산․소비기반 확충
(생산) 고품질 과수 생산기반 조성을 위한 주산지 대상 용·배수로, 경작로 정비 등 지원(과실전문생산단지기반조성), 우량품종갱신·재해예방시설 등 생산시설 현대화 지원(과수고품질시설현대화) 및 과수 생산 시스템의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기 위한 과수농가 경영규모 확대 지원(과원규모화)
(유통) 광역 통합마케팅 조직을 중심으로 생산자 조직화 강화 및 교섭력·시장대응력 강화를 위해 규모화·현대화된 산지유통시설 건립 및 노후화 시설 보완(거점산지유통센터건립, 유통시설현대화)
(소비촉진) 방송매체 활용 홍보, 대형 유통망 연계 소비·판촉 행사, 가공상품 개발 등 국산과일 소비촉진을 위한 다각적 홍보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