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 스마트팜 확산 거점인 스마트팜 혁신밸리*(4개소, ~’21년)를 중심으로 창업보육센터, 임대팜 및 실증단지 등 인프라 집적화 * 1단계 김제 ‘21.11.29, 상주 ‘21.12.15, 2단계(고흥, 밀양) ‘22년 상반기 완공 예정
(창업보육센터) 실습 중심의 장기교육(최대 20개월) 제공, ’22년까지 전문인력 500명 양성
(임대형 스마트팜) 청년농 창농 지원을 위한 임대형 스마트팜 조성
(실증단지) 스마트팜 장비 실증, 빅데이터 분석, 검·인증 등 지원
시설원예 스마트팜 신축, ICT 시설‧장비 보급 및 컨설팅 지원 병행 * 연도별 보급실적(ha) : (’14) 405 → (’17) 4,010 → (‘19) 5,383 → (’22목표) 7,000
(노지) 노지 스마트팜 시범단지를 조성(3개소, ~‘23년)하여 주산지 중심 데이터 기반 영농으로 전환 및 첨단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자동‧기계화 촉진 * 노지스마트팜시범단지(’20~‘22) : 충북 괴산(콩), 경북 안동(사과) * 첨단무인자동화농업생산시범단지(’20~‘23) : 전남 나주(벼)
과수 농가 등을 대상으로 스마트팜 장비(관수시설 등) 지원 지속 추진
(축산) 축산농가 ICT 시설‧장비 설치 및 축산 스마트팜 시범단지 조성 등을 통해 스마트 축사 확대 * 연도별 보급실적(누적, 호) : (’14) 23 → (’17) 801 → (‘19) 2,390 → (’22목표) 5,750 ** 시범단지 조성: (’19) 3개소(강릉, 당진, 울진), (‘20) 2개소(경남 고성, 평창)
(수출) 스마트팜 시스템 수출이 활성화되도록 해외 데모온실 조성 추진(카자흐 '21.10월, 베트남 '22 상반기) * 바이어 발굴‧연결 디지털 홍보 콘텐츠 제작 등 추진
(R&D) 스마트팜 실증, 차세대 융합・원천 기술 등을 연구하여 산업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스마트팜 다부처패키지 혁신기술개발 사업 추진(’21~’27) * 데이터 기반 생육관리의 현장실증‧고도화 및 지능형 로봇 등 차세대 융합·원천 기술 개발 지원(농식품부‧농진청‧과기정통부 / 총 3,867억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