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도별 | ’14년 | ’15년 | ’16년 | ’17년 | ’18년 | ’19년 | ’20년 | ’21년(잠정) | ’22년(목표) |
---|---|---|---|---|---|---|---|---|---|
누적면적 (ha) | 405 | 769 | 1,912 | 4,010 | 4,900 | 5,383 | 5,985 | 6,485 | 7,000 |
당해연도면적(ha) | 60 | 364 | 1,143 | 2,098 | 890 | 483 | 602 | 500 | 515 |
출처 MarketsandMarkets, 2020 /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연도별 | ’14년 | ’15년 | ’16년 | ’17년 | ’18년 | ’19년 | ’20년 | ’21년(잠정) | ’22년(목표) |
---|---|---|---|---|---|---|---|---|---|
누적호수 (호) | 23 | 181 | 430 | 801 | 1,425 | 2,390 | 3,463 | 4,785 | 5,750 |
당해연도호수(호) | - | 158 | 249 | 371 | 624 | 965 | 1,073 | 1,322 | 965 |
출처 MarketsandMarkets, 2020 /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핵심시설 | 주요 내용 |
---|---|
보육온실 | 개소별 약 2.3ha, 보육센터 교육형(6개월) 및 경영형(12개월) 실습장 활용 |
임대온실 | 개소별 약 6ha, 성적우수 보육생 3년 임대(4~500평/인) |
실증온실 | 개소별 약 2ha, 스마트 농업 기자재 실증 및 R&D 공간 임대 |
구 분 | 주요 내용 |
---|---|
입문과정 (2개월) |
◇ 창농 지식, 투자유치 컨설팅, 경영·마케팅, 정착 지원, 온실 설계·관리, 양수분 급배액, 양액재배, 스마트 팜 운영관리, 해외전문가 특강 |
교육형실습 (6개월) |
◇ 보육센터 실습장 등을 활용하여 최대 6개월간 현장실습하며 경험축적, 컨설팅‧현장지도, 우수 스마트팜 사례 벤치마킹 등 |
경영형실습 (12개월) |
◇ 자기 책임하에 스마트팜 경영을 경험해 볼 수 있도록 경영실습장 운영, 컨설팅‧현장지도 교육, 교육생 간 정보공유 |
내역사업명 | 주요내용 | ‘22년 예산(백만원) |
---|---|---|
자율주행 농기계 핵심 부품 국산화 | ․노지농업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주요 농기계(트랙터, 무인기 등) 중 수입 의존도가 높은 핵심 소·부·장 국산화 및 자율주행 기반 확립 | 3,750 |
노지농업 정밀 측정 기술 국산화 | ․식량작물, 채소, 과수 등 총 6종의 대표품목 디지털농업 구현을 위한 데이터의 ‘생산ㆍ수집→활용’ 등 전주기 활용체계(모델) 개발 | 4,700 |
농업용 로봇 현장 적용기술 개발 및 실증 | ․농작업 환경 개선을 위한 기 개발 농업용 로봇의 현장적용 기술 등 단기 고도화 추진 | 3,776 |
합 계 | 12,226 |
* 연구 성과의 현장 보급 및 확산을 위해 부처협의체를 통한 협업체계 구축(농식품부(주관)-산업부-농진청)
솔루션 | 현장 문제 | 서비스 내용 |
---|---|---|
AI 기반 딸기 병해충 관리 및 방제 서비스 | 딸기 병해충 발생 관리가 어려워 품질 및 생산량 감소 | 딸기 주요 병해충(잿빛곰팡이, 응애)에 대한 AI기반 발생 예측으로 사전 병해관리 및 방제 의사결정 지원 * 온도, 습도, 일사량 활용 |
돼지 건강관리 솔루션 | 돼지 사육 두수 파악, 체중 측정이 힘들고, 돈사 내 질병 발생 파악이 어려움 | AI 기반 비전 기술을 활용한 실시간 개체 수 및 체중 측정, 이상행동 분석을 통한 돼지 건강관리 지원 * 영상 이미지, 환경정보, 체중, 사양관리 정보 활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