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는 메뉴
현재 페이지를 즐겨찾는 메뉴로 등록하시겠습니까?
(즐겨찾는 메뉴는 최근 등록한 5개 메뉴가 노출됩니다)
4.28일 발표된 통계청 「2021년 농가경제조사 결과」에 따르면 ‘21년 농가소득은 평균 4,776만원으로, 전년 대비 6.1%(273만원) 증가하였다.
< 소득종류별 농가소득 추이 >
(단위: 천원, %)
2017
2018
2019
2020
2021
증감률
('21/'20)
구성비
농 가 소 득
38,239
42,066
41,182
45,029
100.0
47,759
6.1
- 농 업 소 득
10,047
12,920
10,261
11,820
26.2
12,961
27.1
9.7
- 농업외소득
16,269
16,952
17,327
16,608
36.9
17,884
37.4
7.7
- 이 전 소 득
8,902
9,891
11,230
14,263
31.7
14,809
31.0
3.8
- 비경상소득
3,022
2,302
2,364
2,337
5.2
2,105
4.4
-9.9
[농업소득] 농작물․축산 수입이 증가함에 따라 ’21년 농업소득은 1,296만원으로 전년 대비 9.7%(114만원) 증가하였다.
▪ (미곡) 재배면적 증가(‘20년 726천ha → ’21년 732), 작황 양호(‘20년 483kg/10a → ’21년 530)로 쌀 생산량은 전년 대비 10.7% 증가한 반면 수확기 쌀값은 1.1% 하락하여 수입 증가
* 미곡 농작물수입(만원) : (`19) 663 → (‘20) 667 → (‘21) 702(전년 대비 5.1%↑)
▪ (채소․과수) 채소·과일 생산·판매규모 증가, 채소가격안정제 확대 및 수매비축 등 적극적 수급 대책 추진 등의 영향으로 수입 증가
* 채소 농작물수입(만원) : (`19) 843 → (‘20) 926 → (‘21) 982(전년 대비 6%↑)
과수 농작물수입(만원) : (`19) 405 → (‘20) 474 → (‘21) 495(전년 대비 4.5%↑)
▪ (축산) 코로나19로 인한 한우․돼지․계란 등 주요 축산물 수요 증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발생에 따른 계란․닭고기 공급량 감소 등으로 가격이 상승하면서 수입 증가
* 축산수입(만원) : (`19) 1,048 → (‘20) 1,043 → (‘21) 1,081(전년 대비 3.6%↑)
[농업외소득] 코로나19 이후 소비 흐름 변화에 대응한 비대면 판로 지원 및 소규모 체험프로그램 개발․보급 등 농촌융복합산업 활성화 노력으로 ’21년 농업외소득은 1,788만원으로 전년 대비 7.7%(128만원) 증가하였다.
* 농촌융복합산업 인증경영체 수(개소) : (`19) 1,624 → (‘20) 1,909 → (‘21) 2,034(전년 대비 6.5%↑)
* 농촌관광객 수(만명) : (`19) 1,307 → (‘20) 656 → (‘21) 731(전년 대비 11.4%↑)
[이전소득] 농업인 대상 코로나19 재난지원금 지급*, 기초연금 및 국민연금 지원 확대** 등의 영향으로 ‘21년 이전소득은 1,481만원으로 전년 대비 3.8%(55만원) 증가하였다.
* 소농 40만여호에 1,203억원(호당 30만원), 피해품목 농가 79백여호에 79억원(호당 100만원)
** 기초연금 30만원 지급대상(1인가구 기준) : (’20) 소득하위 40% → (‘21) 70
농업인 국민연금 수급인원·월평균수급액 : (’20) 478천명/306천원 → (‘21) 495/323
경영주 연령별로 보면, 60세 미만 경영주 농가의 소득은 7,253만원, 60대 경영주 농가는 5,584만원으로 농가 전체 평균소득보다 높았으며, 70세 이상 경영주 농가의 경우 3,637만원으로 전체 평균소득의 76.1% 수준으로 나타났다.
경지규모별로 보면, 소규모 농가를 배려하는 구조의 공익직불금(소농직불금 및 역진적 단가의 면적직불금), 코로나19 재난지원금 등 이전소득(공적보조) 증가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크게 받는 중소규모 농가의 전년 대비 소득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다.
* 경지규모별 전년 대비 농가소득 증가율(%) : (0.5ha 미만) 11.5, (0.5~1) 7.1, (1~2) 9.8, (2~3) 1.8, (3~5) 2.8, (5ha 이상) 1.7
‘21년말 기준 농가의 평균 자산은 5억 8,568만원으로 전년 대비 3.5% 증가, 부채는 3,659만원으로 전년 대비 2.7% 감소함에 따라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은 6.2%로 축소되었다.
* 농가 자산 대비 부채 비율(%) : (`18) 6.7 → (`19) 6.7 → (‘20) 6.6 → (‘21) 6.2
< 농가 자산 및 부채 추이 >
구 분
농가자산
505,881
495,687
529,455
565,622
585,676
3.5
- 고 정 자 산1)
386,714
425,721
451,987
484,985
85.7
498,298
85.1
2.7
- 유 동 자 산2)
119,166
69,966
77,469
80,638
14.3
87,377
14.9
8.4
농가부채
26,375
33,269
35,718
37,589
36,592
-2.7
- 농 업 용
10,618
13,687
14,506
14,510
38.6
13,646
37.3
-6.0
- 가 계 용
8,588
9,980
11,138
12,183
32.4
11,650
31.8
-4.4
- 겸업·기타용
7,170
9,602
10,074
10,897
29.0
11,297
30.9
3.7
1) 고정자산: 토지, 건물 및 구축물, 기계‧기구‧비품, 대동‧식물, 무형자산
2) 유동자산: 현금, 예‧적금(정기) 등 금융자산, 재고자산(미처분농축산물, 미사용구입자재, 소동물 등)
붙임 1. 소득종류별 농가소득 추이
2. 경영주 연령별 및 경지규모별 농가수지
농림축산식품부 이(가) 창작한 2021년 농가소득 4,776만원으로 전년 대비 6.1% 증가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