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30일(수) 이데일리는 「반타작도 못한 쌀 재배면적 조정제」라는 제목으로 정부가 올해 벼 재배면적 8만ha 감축을 목표했지만 참여가 저조하고,민주당 양곡법 재추진으로 정책 동력이 떨어지고 있다고 보도하였습니다.
< 농림축산식품부 설명 >
만성적인 쌀 공급과잉 구조를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8만ha 수준의 벼 재배면적 감축 목표가 필요합니다.
우리나라는 쌀 소비가 가파르게 감소하여 평년작 기준으로 초과 생산량이매년 20만톤 이상 발생하는 ‘구조적 공급과잉’ 상태입니다. 정부는 ’21년부터 4년 연속 과잉생산에 따른 쌀값 불안에 대응하기 위해 약 120만톤을 매입하였고, 2조 6천억원의 재정을 투입하였습니다. 연간 20만톤 이상 발생하는 구조적 초과생산 물량과 벼 회귀면적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정부는 올해 8만ha를 감축 목표로 삼고 벼 재배면적 조정제를 적극 추진 중입니다.
최근 발표된 ‘2024년산 논벼(쌀) 생산비 조사 결과(통계청)’에 따르면 2024년 벼 농사 순수익은 산지 쌀값 하락 영향 등으로전년에 비해 24.3% 감소하였습니다. 올해 적정한 재배면적에 도달하지 못하면 ’23년산과 같은 쌀값 하락이 재현될 우려가 있습니다.
벼재배면적 조정제는 각 유형을 지역별 여건에 맞게 추진하는 방식으로 강제적제도가 아니며, 현재 필지별 감축면적을 시스템에 입력하는 단계입니다.
벼 재배면적 조정제에 참여하는 방식은 전략작물, 타작물, 친환경 인증, 자율감축(휴경), 농지이용다각화 등 5가지 유형으로 구성되며, 지자체가 지역별 상황에 맞게 각 유형별로 다양한 이행 프로그램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기사에서 서술된 것처럼 지자체에 강제 감축 방식으로 추진하는 것은 아닙니다.
현재는 5가지 유형별로 시·군에서 필지별 감축계획을 입력하고 있습니다.각 사업의 신청기간은 전략작물 5월말, 친환경 인증 8월말 등으로, 주요 감축 유형들이 대부분 신청·접수 중인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