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육센터 실습장 등을 활용하여 최대 6개월간 현장실습하며 경험축적, 컨설팅‧현장지도, 우수 스마트팜 사례 벤치마킹 등
경영형실습 (12개월)
◇ 자기 책임하에 스마트팜 경영을 경험해 볼 수 있도록 경영실습장 운영, 컨설팅‧현장지도 교육, 교육생 간 정보공유
사업규모
(교육인원) 혁신밸리 4개소에서 매년 200명(각 50명)을 선발하여 20개월 교육함에 따라 연간 600명*이 교육 참여
(`22년 예시) `20년 선발 200명(`20.7∼`22.6월) + `21년 선발 200명(`21.7∼`23.6) + `22년 선발 200명(`22.7∼`24.6월)
(예산) (`20) 300명, 4,000백만원 → (`21) 500명, 7,000백만원
향후계획
매년 200여명의 신규 교육생을 선발하여 스마트팜 청년인력 양성(`22년∼)
노지 스마트농업 시범사업 개요
사업내용
(사업목적) 노동집약적·관행농법(경험위주) 위주 노지재배 방식을 주산지 중심 데이터 영농으로 전환 및 스마트영농 확산기반 마련
(사업기간/대상지) ’20~’22년 / 경북 안동(사과), 충북 괴산(콩)
(사업예산) 3년간 총 사업비 249억원(개소당) * 국비 50~100%
지원내용
노지작물 주산지(2개소)에 적용 가능한 기술과 현장 실증이 필요한 장비 지원*으로 노지재배의 스마트화 추진동력 마련
ICT 기자재(관수·관비 등), 스마트농기계(드론, 무인트렉터 등), 기존 시설 스마트화(APC, SPC 등), 관제센터 등
주산지에서 발생하는 환경·생육·경영 데이터 수집을 통한 수급예측, 관측기술, 생산·소비 효율성·유통 투명성 제고에 기여
스마트농업 R&D 사업 개요
스마트팜 다부처 패키지 혁신기술개발 사업(R&D)
(사업목표) 스마트팜 융합․원천기술 개발․확산을 통한 지속가능한 농축산업 구현 및 글로벌 경쟁력 제고
‘21~’27년(4+3년)/3,867억원(국고 3,333, 민자 534)
(주관) 농식품부·농진청, (참여)과기정통부
(주요내용) 2개 내역사업, 10개 전략과제, 35개 추진과제
온실·축사 등 ‘스마트팜’으로 한정, 2세대 스마트팜의 현장 실증·고도화 및 3세대 스마트팜 융합·원천기술 개발 집중 지원
부처(청) 매칭형 단일 사업단 중심, 공동성과·공동책임 원칙의 사업운영
(스마트팜 실증 고도화 연구) 스마트팜 핵심기술 고도화, 다양한 기술의 통합 및 실증을 통한 대상 작물/축종 확대 등 현장 맞춤형 솔루션 최적화
(차세대 융합·원천기술 연구) 지능정보기술 + 로봇 + 그린에너지기술 등이 융합된 차세대 스마트팜 원천기술과 완전 무인·자동화를 지향하는 글로벌 K-Farm 모델 확립
노지 분야 스마트농업 기술 단기 고도화 사업(R&D)
(사업목적) 노지농업 생산기술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전주기 데이터 활용체계 확립과 핵심 농기계 소ㆍ부ㆍ장비 등 기반기술 고도화 및 국산화
‘22∼’24 / ‘22년 12,226백만원
노지 분야 스마트농업 기술 단기 고도화 사업, 내역사업명, 주요내용, ‘22년 예산(백만원)
내역사업명
주요내용
‘22년 예산(백만원)
자율주행 농기계 핵심 부품 국산화
․노지농업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주요 농기계(트랙터, 무인기 등) 중 수입 의존도가 높은 핵심 소·부·장 국산화 및 자율주행 기반 확립
3,750
노지농업 정밀 측정 기술 국산화
․식량작물, 채소, 과수 등 총 6종의 대표품목 디지털농업 구현을 위한 데이터의 ‘생산ㆍ수집→활용’ 등 전주기 활용체계(모델) 개발
4,700
농업용 로봇 현장 적용기술 개발 및 실증
․농작업 환경 개선을 위한 기 개발 농업용 로봇의 현장적용 기술 등 단기 고도화 추진
3,776
합 계
12,226
* 연구 성과의 현장 보급 및 확산을 위해 부처협의체를 통한 협업체계 구축(농식품부(주관)-산업부-농진청)
온실·축산·과수 스마트팜 보급사업 주요내용
온실
원예시설 자동화·스마트화로 농업의 편의성·생산성 증진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 ICT 융복합 장비*, 스마트팜 온실신축 지원
온·습도, CO2, 양액 등 모니터링을 위한 센서 및 영상장비, 제어장비, 복합환경관리시스템 등
(지원대상) 채소·화훼·특용작물 재배 농업경영체
(지원조건) 국고 30%, 지방비 30%, 자부담 40%
* 온실신축 : 국고 20%, 지방비 30%, 융자 30%, 자부담 20%
** 융자 조건 : 이자율 2%, 3년 거치 7년 상환
(사업시행주체) 지자체(시장·군수)
축산농가의 생산비 절감과 사양 및 축사 환경관리 역량 강화를 위해 ICT 융복합 장비* 지원
사료 자동급이기, 착유기, 축사 환경관리기, 악취 측정장비, 발정탐지기 등
(지원대상) 시설이 현대화되었거나, 현대화를 추진하여 ICT 융복합 시설 설비가 가능한 농업경영체
(지원조건) 국고 30%, 융자* 50%, 자부담 20%
융자조건 : 이자율 2%, 3년 거치 7년 상환
(사업시행주체) 지자체(시장·군수)
과수
과수농가의 생산비 절감 및 고품질 과수생산을 통한 경쟁력 강화를 위해 ICT 융복합 장비* 지원 * 온·습도, 풍속, 강우 등 모니터링을 위한 센서 및 영상모니터링 장비, 관수·관비, 농약살포 등의 제어를 위한 ICT 융복합 통합 제어장비 등
(지원대상) ICT 융복합 시설 적용이 가능한 과수재배 농업경영체
(지원조건) 국고 20%, 지방비 30%, 융자* 30%, 자부담 20%
* 융자조건 : 이자율 2%, 3년 거치 7년 상환
※ 표준사업비(1ha) 기준 20백만원(사업비 상한액 200백만원)
(사업시행주체) 지자체(시장·군수)
데이터 기반 스마트농업 확산 지원사업 개요
추진배경
단순 기계화·자동화 중심의 스마트팜 보급에서 데이터 기반 스마트농업 전환되도록 디지털 장비·기술 및 서비스 지원
사업내용(’22년: 6,235백만원, 국비)
농업인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해결을 위한 데이터 기반 서비스·솔루션을 농가에 적용 및 고도화 - 민간(스마트팜, 데이터·AI 관련 기업 등)에서 旣 개발한 데이터 기반 서비스·솔루션 농가 적용 비용, 데이터 표준 적용 등 일관된 데이터 수집을 위한 시설·기자재 구축 비용 지원
분야별 데이터 기반 서비스(예시)
분야별 데이터 기반 서비스(예시) 솔루션, 현장 문제, 서비스 내용
솔루션
현장 문제
서비스 내용
AI 기반 딸기 병해충 관리 및 방제 서비스
딸기 병해충 발생 관리가 어려워 품질 및 생산량 감소
딸기 주요 병해충(잿빛곰팡이, 응애)에 대한 AI기반 발생 예측으로 사전 병해관리 및 방제 의사결정 지원 * 온도, 습도, 일사량 활용
돼지 건강관리 솔루션
돼지 사육 두수 파악, 체중 측정이 힘들고, 돈사 내 질병 발생 파악이 어려움
AI 기반 비전 기술을 활용한 실시간 개체 수 및 체중 측정, 이상행동 분석을 통한 돼지 건강관리 지원 * 영상 이미지, 환경정보, 체중, 사양관리 정보 활용
추진절차
농업인, 스마트팜 기업 등 경제 주체의 직접 참여를 통해 효과·현실성이 제고되고, 스마트농업 시장이 성장할 수 있도록 추진
스마트팜 서비스 기업을 중심으로 농업인 등이 솔루션·서비스에 함께 참여
사업기간/시행기관 ’22~ /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스마트팜 패키지 수출 활성화 사업 개요
사업목적
기자재·인력·기술 등을 패키지화하여 한국형 스마트팜 수출을 확대하고, 스마트팜 관련 기업과 종사자의 해외 진출 촉진
사업예산
스마트팜 수출 관련 예산(국비 기준) : ‘22년 : 1,769백만원
사업내용
(데모온실) 해외에 한국형 스마트팜 온실을 구축하고, 전문인력 파견, 현지 인력교육, 데이터 활용, 마케팅 등을 통해 수출 활성화 - ‘온실설계·시공+기자재+운영 등’ 각 분야 전문기업으로 컨소시엄 구성
컨소시엄 주요 역할
ㅇ 대상국 내에 국산 기자재·운영프로그램으로 구성된 데모온실 조성 및 운영
ㅇ 병해충방제, 유지보수, 신체품 교체, 사양 업그레드, A/S 등 사후관리 담당
ㅇ 행사, 인력교육 등 위한 정부의 요청사항에 적극 협조
ㅇ 시설운영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 생육, 경영 등 데이터 수집 및 공유
현지 농업인, 대학생 등 대상 작물 재배, 스마트팜 운영 방법 등 교육
(해외 마케팅) 기업 수요가 높은 수출국을 대상으로 시장 정보조사, 바이어·파트너 발굴, 수출상담회 등을 지원 - 전시회, 박람회 등 해외마케팅, 비즈니스 상담 등을 위한 현지 무역관 밀착 지원, 기업 홍보 자료 제작 등 기업 마케팅 지원